




직업환경의학 (개정판)
- 지은이 : 대한직업환경의학회
- 출판사 : 계축문화사
- 발행일 : 2024-01-03
- 공급사 우리전자책
- 보유권수 1권
- 대출 0권
- 예약 0권
교과서편찬위원회는 목차 초안 및 주요 내용 구성에 대해 검토하여 내용이 중복되지 않으면서 일관되게 구성되고 일반인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편집을 하였습니다.
2014년 발간된 ‘직업환경의학’은 “직업환경의학의 학문적 배경, 직업과 유해요인, 주요 공정, 직업성 질환, 환경의학, 관리, 새로운 과제”로 총 7편의 내용으로 구성되었습니다. 편집위원회는 “주요 공정”편은 유해요인과 직업성질환의 내용에 포함하고, 안전에 대한 내용을 추가한 개정판을 만들었습니다.
제1편 “노동과 건강”은 2014년 교과서의 “직업환경의학의 학문적 배경”에 해당하는 편으로서 직업환경의학의 역사와 법 체계, 역학, 그리고 2014년 교과서에는 없었던 윤리에 대한 내용을 추가하였습니다.
제2편 “직업적 유해요인”과 제3편 “직업성질환”은 2014년 교과서를 추가 및 보완하였습니다.
제4편 “환경과 건강”은 2014년 교과서의 “환경의학”을 기본으로 하고, 가습기살균제와 미세플라스틱, 태안기름유출과 구미 불산누출 사고, 그리고 환경성질환과 관련된 법 규정에 대한 내용을 추가하였습니다.
제5편 “건강한 작업환경을 위하여”는 직업환경의학 전문의가 주로 수행하고 있는 업무를 담고자 하였으며, 업무상 질병의 보상과 직업재활, 그리고 사업장 보건관리와 건강증진에 대한 내용을 추가 및 보완하였습니다.
제6편 “새로운 노동환경”은 2014년 교과서의 제7편 “새로운 과제”를 확대 개편하였습니다. 재난 사고 중 환경누출 관련은 제4편으로 이동시키고, 직업적 누출은 “사업장 재난”으로 옮겼습니다. 그리고 최근 부각되는 취약한 노동자와 고위험 직업 분야의 내용을 추가하였습니다.
제7편 “안전과 건강”은 근로자의 관점에서 안전한 일터를 구현하기 위해 직업환경의학 전문의가 알아야 할 내용으로 새로이 구성하였습니다.
2014년 발간된 ‘직업환경의학’은 “직업환경의학의 학문적 배경, 직업과 유해요인, 주요 공정, 직업성 질환, 환경의학, 관리, 새로운 과제”로 총 7편의 내용으로 구성되었습니다. 편집위원회는 “주요 공정”편은 유해요인과 직업성질환의 내용에 포함하고, 안전에 대한 내용을 추가한 개정판을 만들었습니다.
제1편 “노동과 건강”은 2014년 교과서의 “직업환경의학의 학문적 배경”에 해당하는 편으로서 직업환경의학의 역사와 법 체계, 역학, 그리고 2014년 교과서에는 없었던 윤리에 대한 내용을 추가하였습니다.
제2편 “직업적 유해요인”과 제3편 “직업성질환”은 2014년 교과서를 추가 및 보완하였습니다.
제4편 “환경과 건강”은 2014년 교과서의 “환경의학”을 기본으로 하고, 가습기살균제와 미세플라스틱, 태안기름유출과 구미 불산누출 사고, 그리고 환경성질환과 관련된 법 규정에 대한 내용을 추가하였습니다.
제5편 “건강한 작업환경을 위하여”는 직업환경의학 전문의가 주로 수행하고 있는 업무를 담고자 하였으며, 업무상 질병의 보상과 직업재활, 그리고 사업장 보건관리와 건강증진에 대한 내용을 추가 및 보완하였습니다.
제6편 “새로운 노동환경”은 2014년 교과서의 제7편 “새로운 과제”를 확대 개편하였습니다. 재난 사고 중 환경누출 관련은 제4편으로 이동시키고, 직업적 누출은 “사업장 재난”으로 옮겼습니다. 그리고 최근 부각되는 취약한 노동자와 고위험 직업 분야의 내용을 추가하였습니다.
제7편 “안전과 건강”은 근로자의 관점에서 안전한 일터를 구현하기 위해 직업환경의학 전문의가 알아야 할 내용으로 새로이 구성하였습니다.